본문 바로가기
복지

청년희망키움통장

by dorea 2025. 4. 3.

들어가는 말

청년희망키움통장은 저소득층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통장 프로그램으로, 청년들이 근로소득을 통해 자산을 축적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. 이 통장은 청년이 생계급여 수급자일 경우, 일정 기간 동안 지원금과 함께 저축을 할 수 있게 돕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조건과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, 통장에 관련된 지원과 혜택에 대한 세부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1. 지원대상 및 기준 💼👩‍💻

지원대상

  • 생계수급 청년: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인 가구의 청년(만 15세 이상 39세 이하)
    • 예: 신청 월의 전월에 만 15세가 된 자부터 신청 월에 만 40세가 되는 자까지
    • 가입기준: 근로 활동을 통해 소득이 발생하는 청년만 가입 가능 (대학교 근로 장학금, 실업급여, 육아휴직수당 등은 가입 불가)

기타 조건

  • 기존에 희망키움통장Ⅰ에 가입된 경우, 청년희망키움통장 가입을 위해선 기존 통장을 환수하고 새로 가입해야 함.
  • 가입기간5년이며, 2019년 하반기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기존 가입자는 3년 가입입니다.

2. 지원 개요 💸💰

청년희망키움통장의 주된 지원 항목은 근로소득공제금근로소득장려금입니다. 이 두 항목은 청년의 근로와 사업소득을 기반으로 지원됩니다.

근로소득공제금:

  • 청년의 소득에서 10만원을 추가로 공제하여 저축
  • 근로소득이 10만원 초과하는 경우 지급 (보장기관 확인소득 제외)

근로소득장려금:

  • 청년의 근로소득에 대해 일정 비율을 적립합니다.
    • 장려율: 청년 본인의 소득이 증가할수록 장려금이 증가
    • 예: 소득이 10만원 증가할 때마다 장려금은 4.5만원 증가
    • 최대 장려금: 679,000원 (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45%)

3. 탈수급 후 참여 가능 소득상한 기준 🏠💼

  • 탈수급 후: 3년 이내에 탈수급한 경우, 청년이 소득상한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면 근로소득장려금이 계속 지원됩니다.
  • 소득상한 기준: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로 소득이 초과하지 않으면 장려금이 계속 지급됩니다.

4. 민간 매칭금 🏦🤝

  • 지원금액: 2019년 9월 가입자부터 매월 본인 적립금에 대해 최대 2만원까지 1:1 매칭비율로 지원됩니다.
  • 지급일정: 매 적립월의 익월 1일부터 3일까지 지급됩니다.

5. 적립중지 📉🛑

  • 적립중지 사유: 실직, 본인 또는 부양가족의 질병·사고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경우, 3년 중 최대 6개월까지 적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군입대: 군입대 예정자는 적립중지 기간을 2년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.

6. 지급 요건 및 절차 🎯

청년희망키움통장에서 지원금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은 근로소득 지속생계급여 탈수급입니다.

  • 근로소득 지속: 소액이라도 근로소득이 발생해야 함
  • 생계급여 탈수급: 만기 시점에 소득이 증가하거나, 가구원 변동 등으로 생계급여 수급자격연속 3개월 이상 중지된 경우에 지급됩니다.

7. 해지 및 환수 절차 🛑

해지 사유 및 지급액:

  • 만기 후 지급: 3년 만기 후 연속 3개월 이상 생계급여 탈수급 시 지원금 지급
  • 중도 해지: 만기 전 3개월 이상 생계급여 탈수급 시 적립된 지원금 지급

환수 조건:

  • 만기 전 소득자료 미신고, 사용용도 증빙 미제출 등 다양한 사유로 지원금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.

8. 지원금 지급 예시 💵📈

  • 가입한 청년의 월소득 100만원 기준:
    • 근로소득공제금 + 근로소득장려금 + 민간매칭금 = 57만원 (약 2,052만원) (3년 간)
  • 가입한 청년의 월소득 160만원 이상 기준:
    • 근로소득공제금 + 근로소득장려금 + 민간매칭금 = 79.9만원 (약 2,876만원) (3년 간)

 ✨ 나가는말 

청년희망키움통장은 저소득층 청년들이 자신의 소득을 통해 자산을 형성하고, 근로소득을 장려하며 생계급여를 탈수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이 프로그램은 근로소득을 통해 자산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다양한 혜택과 조건에 맞춰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합니다.

 
 
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구직자 취업지원 서비스  (0) 2025.04.08
일자리 110만개  (1) 2025.04.04
💰 내일키움통장  (0) 2025.04.02
💰 희망키움통장Ⅱ  (0) 2025.04.01
희망저축계좌 I  (1) 2025.03.31